본문 바로가기
운동 이야기/공부

[운동기능해부학 3차시] 몸통을 구성하는 뼈와 관절을 알아가보자!

by 글짓는동네언니 2022. 8. 21.
728x90
반응형

오늘은 몸통(구성하는 뼈)과 관절에 대해 공부해 보려고 해요

 

몸통[Thorax]

몸통 뼈대의 기초는 12쌍의 갈비뼈(늑골, ribs)에 의하여 형성됨

이 중 7쌍은 별개의 갈비 연골(늑골 연골, costal cartilage)을 통하여 복장뼈(흉골, sternum)에 직접 붙어 있는 참갈비 뼈(진 늑골, true rib)이자 척추 복장뼈(척추 흉골 뼈, vertebrosternal rib) 임

5쌍은 거짓 갈비뼈(가 늑골, false rib)로 간주되는데, 이 중 3쌍은 공유하는 갈비 연골을 통해 복장뼈(sternum)에 붙어 있는 척추 갈비 연골(척추 늑골 연골, vertebrochondral)이며, 2쌍은 가장 짧은 뼈로 끝이 붙어 있지 않고 자유롭게 떠있는 갈비뼈임

12쌍-갈비뼈사진

 

복장뼈 자루(흉골병, manubrium), 복장뼈몸동(흉골체, body of sternum), 칼 돌기(검상돌기, xiphoid process)는 몸통의 다른 뼈

모든 갈비뼈는 뒤쪽에서 등뼈와 연결되어 있음

복장뼈-흉골-사진

 

 

관절[Joints]

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뼈의 관절은 다양한 유형의 움직임을 허용함

각 관절의 이름은 해당 관절의 움직임의 범위와 종류에 따라 정해짐

관절을 구조에 따라 구분하면 섬유 관절, 연골 관절 및 윤활 관절로 나눌 수 있음

- 섬유 관절은 결합조직 섬유들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어 움직임 불가

- 연골 관절은 유리 연골 혹은 섬유연골에 의해 결합되어 아주 약한 움직임 가능

- 윤활 관절은 자유로운 움직임 가능

기능에 따라 분류하면 못움직관절, 반움직관절, 움직관절로 나눌 수 있음

구조와-기능별-관절-분류-사진

못움직관절 구분 종류 : 봉합(머리뼈의 접합부), 정식(치아의 와)

부동관절-사진

 

반움직관절 종류 : 인대 관절(뼈 사이의 최소한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강력한 인대 구조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음) , 섬유연골 관절(뼈 사이 아주 작은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하는 섬유연골을 사이에 둔 관절의 형태로 두덩뼈 결합, 추간판),    연골 관절(유리 연골에 의해 분리된 관절의 유형으로 복장뼈, 갈비뼈, 갈비 연골)

반움직관절-사진

움직 관절 종류 : 전동(제한된 미끄러짐만 가능), 융기(두 평면에서 돌림 없이 움직임 가능), 절구(모든 면에서 움직임 가능), 경첩(한 면에서만 큰 관절 가동범위를 가짐), 안장(주로 엄지손가락에서 발견되며 약간의 돌림을 제외하고 절구 움직임 허용), 중쇠(세로축을 중심으로 돌림 운동을 함)

움직관절-윤활관절의-형태-사진
움직관절-분류표-사진

[척추뼈 관절에 관한 세부 내용]

척주관절-요약자료-사진

척추의-관절면-사진-예시
1. 고리뒤통수 관절 
- 뒤통수뼈와 관절오목한 곳의 사이(yes joint)

2. 고리중쇠 관절
-고리뼈(C1)와 중쇠뼈(C2) 사이(no joint)

3. 척추뼈 몸통 사이 관절
- 척추뼈의 위 아래 몸통 사이(척추사이원반, 추간판)

4. 척추뼈 고리 사이의 관절
- 척추뼈의 위 아래 관절돌기 사이

 

오늘도 유익한 내용이였습니다.

다음 편에서는 또 다른 분위별 관절 내용으로 오겠습니다.

감사합니다 >_<

728x90
반응형